본문 바로가기

backend

(4)
스프링으로 모바일 앱 서버 만들기[User] 1. Project 구성하기 이 글을 먼저 보시기 전에 전에 작성했던 https://pinlib.tistory.com/entry/%EC%8A%A4%ED%94%84%EB%A7%81%EC%9C%BC%EB%A1%9C-%EB%AA%A8%EB%B0%94%EC%9D%BC-%EC%95%B1-%EC%84%9C%EB%B2%84-%EB%A7%8C%EB%93%A4%EA%B8%B0 스프링으로 모바일 앱 서버 만들기다시 실습편으로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전에 이론편에서 말씀드렸지만, 사실 이미 제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mobile application의 sever는 이미 개발 중이었습니다. 허나, 추후에 mobile application을 추가pinlib.tistory.com이 글을 먼저 보시고 오시길 바랍니다. 또한 이론적인 부분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
스프링으로 모바일 앱 서버 만들기 다시 실습편으로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전에 이론편에서 말씀드렸지만, 사실 이미 제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mobile application의 sever는 이미 개발 중이었습니다. 허나, 추후에 mobile application을 추가 개발할 것을 고려하여 보편화된 tool을 만들기로 결정하게 되어 겸사겸사 해당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https://start.spring.io/ 에 접속합니다. 위와 같이 check하시고 진행하시되 만약 특정 조건이 다르다면 다르게 설정하셔도 됩니다. 주로 group에는 기업명이나 domain을 적습니다. artifact의 경우 name과 같은 내용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dependencies의 경우 편하게 library를 선택한다고 보시면 되는데 추후에 추가 및 ..
DAO생성해서 간단한 CRUD 구현하기 사용자 정보를 JDBC API를 통해 DB에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는 간단한 DAO를 만들어 CRUD를 구현하는 방법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먼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User class를 만듭니다. 해당 class에는 id, name이라는 프로퍼티를 가집니다. public class User{ String id;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Id(){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this.id=id; } public String getName(){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this.name=name; } } 여기서 id의 경우 DB의 Primary Key로 설정합니다. ..
Spring 개념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 요즘 spring boot를 통해 android application의 back-end를 구현하고 있었다. 그런데 back-end 개발을 할 때마다 너무 야매의 냄새가 나고 어려워서 spring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기로 결정했다. 어떤 방식으로 공부할지 고민하다가 spring 공부에는 '토비의 스프링'이라는 책이 유명하다고 해서 책을 구매하였고 이제부터 공부한 내용을 올릴 계획이다.